지난 15일 삼척항에 북한 소형어선이 도착하기까지 동해안의 해상 감시망이 뚫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 어선이 내려온 과정과 이에 대한 군의 설명, 그리고 북한 선원의 귀순 과정 등 여전히 의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세호 기자! <br /> <br />우선 북한 소형 어선이 남하한 과정부터 정리해주시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삼척항에 도착한 북한 어선은 지난 9일 함경북도에서 출항한 뒤 11일에서 12일 사이 동해 북방한계선에서 다른 북한 어선들과 합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위장 조업을 위해서였다는 것이 군의 설명인데요, 해당 어선은 12일 9시 동해 NLL을 넘어 남하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14일 금요일 밤 9시쯤 삼척 앞 먼바다에서 엔진을 끄고 대기를 하다 이튿날 15일 해가 뜰 무렵 출발해 같은 날 아침 6시 20분쯤 삼척항 부두에 도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 안에는 4명이 타고 있었고, 지나가던 주민이 신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동해는 육해공군 그리고 해경의 감시가 삼엄하다가 알려졌는데, 동해 감시망이 완전 뚫린 것은 물론이고 군에 해명 방식에도 비판이 잇따르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어선은 무려 사흘 동안이나 동해안을 누비고 다닌 셈인데요, 군은 동해 NLL 인근에 오징어 조업 등을 이유로 북한 어선들이 월선할 수 있어 초계기와 작전헬기, 함정 등 감시 전력 등을 늘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군은 처음 발표 당시 해상 감시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북한 어선이 남하할 당시 파도가 배보다 높았고, 해류에 따라 떠내려오면서, 즉, 표류를 하고 있어 속도가 나지 않아 레이더로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고 해명했는데요, 이 또한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YTN이 보도한 CCTV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, 배는 표류를 한 것이 아니라 엔진 동력을 이용해 내려온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표류로 인해 목선을 포착하는데 어려웠다는 군의 설명이 설득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군은 배가 발견된 곳이 삼척항 인근이고만 하고, 부두에 배가 왔다는 사실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는데요, 이 때문에 군이 해상 경계망이 뚫린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황을 축소, 은폐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어제 전군 지휘관 회의에서 해상경계에 실패했다고 시인하며 책임자를 엄중 문책하겠다고 했고, 오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62011295395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